안녕하세요 탱교수입니다.
오늘은 C#프로그래밍에서 변수의 개념에 대해서 이해해 보고 계산기를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콘솔앱 실행
우선 계산기 프로그램을 코딩하기 위해 visual studio를 실행하여 콘솔앱을 이용하겠습니다.
2.변수의 개념 이해
변수란?
위 코드는 a와b에 값을 고정해 놓은 계산 프로그램입니다.
변수는 이해하기 쉽게 그릇 혹은 방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 실 것 같습니다.
우선 보시는 코드를 통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3행,4행
3행과 4행에서 a,b,result 라는 3개의 변수(그릇)을 준비하였습니다.
6,7행
그릇 a에는 50을 그릇b에는 100을 넣었습니다.
9행
9행에서는 그릇a의 값과 그릇b의 값을 더한 값을 그릇result에 넣었습니다.
3.Console.WriteLine() 매서드의 사용
Console.WriteLine()은 괄호 안의 내용을 모니터에 출력하라 의미의 매서드입니다.
코드 중간 중간에 "+"기호는 내용을 이어서 출력하라는 뜻입니다.
"+" 나 "="는 문자열입니다.
4.Console.ReadLine() 매서드
그럼 이제 고정된 값이 아닌 사용자 본인이 값을 임의로 a,b에 넣을 수 있는 코딩을 해보겠습니다.
Console.ReadLine()매서드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키보로 숫자를 직접 입력하면 덧셈,뺄셈,곱셈,나눗셈을 자유자재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즉, 키보드 값을 입력받으려면 Console.ReadLine()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Console.RealdLine()의 문제점
문제는 Console.ReadLine()매서드는 무조건 문자열로만 입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tring형식의 변수를 별도로 준비해 입력을 받아야 합니다.
계산을 하기 위해서 정수가 필요하므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해주는 Convert.Toint32()혹은 int.Parse()매서드를 사용합니다.
5.Console.ReadLine() 적용해 보기
위에서 짠 코드에 빨간색 부분을 추가해 보았습니다.
4행
4행은 문자열은 받기 위해서 str을 선언한 것입니다.
6행,9행
6행과 9행에서는 문자열을 입력받아서 str에 대입해 줍니다.
7행,10행
7행과 10행에서는 Convert.Toint32()매서드를 통해서 문자열인 str을 정수로 변환해 a와b에 대입해줍니다.
6.명령 프롬프트 창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보시는 바와 같이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커서만 깜빡거리는 것을 확인하 실 수 있습니다.
이때 임의의 값을 2개 입력해주시면 그것이 a와b의 변수에 입력하는 값입니다.
입력을 받은 값은 보시는 바와 같이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 실 수 있습니다.